포스팅 목차
13월의 월급을 받을 수 있는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국세청 홈페이지에 연말정산 관련 신고안내 책자가 올라와 있으니 자세한 내용 알고 싶은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 분들의 경우 연말정산을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회사에서 알아서 처리를 해주기 때문에 소득공제 자료 같은 것들을 잘 정리해서 제출만 해주시면 됩니다. 오늘은 여러 소득공제 항목들 중에서도 개인연금저축에 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연금저축이란 무엇인가?
연금저축은 개인이 노후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제도입니다. 연말정산을 할 때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상품 중 하나입니다. 초고령화 사회로 넘어가게 되면서 노후소득보장제도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서 도입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 기업의 퇴직금 제도 등 공적 연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노후생활을 대비하기 위해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연금 기능에 소득공제 혜택이 있어 노후 상품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이제 2023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내년 초에 진행되는 연말정산에 유리한 연금 계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올해는 세액공제 납입한도가 최대 900만 원까지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더 돌려받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찾아보고 있을 겁니다.
올해부터 연금계좌 세액공제 납입 한도가 200만 원 상향되었습니다. 연금저축은 기존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늘었고 IRP는 700만 원에서 900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개인연금저축과 IRP의 세액공제율을 보면 소득 수준에 따라서 13.2% 또는 16.5%를 적용받고 있습니다. 총급여가 얼마인지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지금까지 한 번도 연금계좌에 돈을 입금하지 않은 직장인이라도 12월 31일까지만 900만 원을 입금하게 되면 소득 구간에 따라서 최대 환급금이 1,188,000원에서 1,485,000원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요건
거주자가 본인 명의로 개인연금저축에 가입한 경우 해당 과세기간의 저축납입액에 대해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합니다.
구분 | 개인연금저축(소득공제) | 연금저축(연금계좌 세액공제) |
가입기간 | 2000.12.31 이전 가입 | 2001.1.1 이후 가입 |
가입대상 | 만 20세 이상 | 만 18세 이상 |
납입금액 | 분기마다 300만 원 이내에서 납입 | 연 1,800만 원 이내 (13년 이후 납입시) +ISA 계좌 만기 시 연금계좌 전환 금액 (20.1.1 이후) |
납입기간 | 10년 이상 | 5년 이상(13년 이후 납입시) |
소득공제 등 비율 | 연간 납입액의 40% | 연 72만 원~135만 원(세액공제) |
연말정산 신고안내 책자를 보면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에 관련한 공제 요건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여기에 금융상품에 대한 종류도 따로 있습니다.
- 개인연금저축(소득공제): 은행 또는 투자신탁회사의 신탁상품, 보험회사의 보험상품, 우체국 보험, 수협의 조합이 취급하는 생명공제
- 연금저축(연금계좌 세액공제): 은행 또는 투자신탁회사의 신탁상품, 보험회사의 보험상품, 우체국 보험, 수협과 신협의 조합이 취급하는 생명공제, 증권투자회사의 연금저축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는 연간 납입금액의 40%입니다. 이는 연 72만 원 한도입니다. 조특법 제86조 2의 연금저축 가입자가 중도해지하는 경우 해지 당해연도 저축납입액은 소법 제21조의 기타 소득에 해당하지 않으며 동 금액은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신고 시 연금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개인연금저축 납입액을 연금계좌 세액공제 항목으로 잘못 신청하였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으로 구분하여 적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신고안내 책자에서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미리 연말정산을 대비하실 분들은 꼭 한 번 살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의 포스팅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신용카드 소득공제 계산 방법
오늘은 연말정산 신용카드의 소득공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세액계산 및 지급명세서 제출 방법에 관한 안내가 나온 상태입니다. 이제 2024년
economystory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