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용카드 발급조건에 대해서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 초년생들이 취직을 하면서 신용카드를 만드는 분들 많이들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위해서도 어느 정도 신용카드를 사용해 주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이 카드는 자신의 신용을 담보로 외상을 해서 결제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면 될 것 같아요.
그래서 신용카드 발급조건이 따로 있습니다. 이를 충족해야 카드사에서 발급이 진행되는데요. 카드사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확인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1. 신용카드 발급조건은?
먼저, 신용카드 발급조건부터 빠르게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해당 조건들을 충족해야 우리는 카드사에서 신용카드를 받고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 신용카드 발급조건
- 만 19세 이상 성년자
- 일정 신용도 및 신용등급 충족
- 본인 확인 가능한 자
보통 이렇게 3가지의 조건만 충족을 한다면 신용카드를 만들 수가 있어요. 카드사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발급받기 전에 본인이 만들고자 하는 카드사에서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돈을 갚을 능력이 있는 사람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취직을 한 상태라면 누구나 무난하게 카드 발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 어떤 신용카드를 선택해야 할까?
신용카드 발급조건을 봤으니 이제 어떤 카드를 선택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합시다. 시중에는 다양한 카드 상품들이 출시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카드별로 혜택들도 모두 다르게 적용되고 있어요. 본인의 소비 습관을 파악하고 많은 혜택을 챙길 수 있는 카드를 고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사회초년생들에게는 연회비가 적은 카드, 일상생활에서 적용되는 혜택들, 전월 사용 실적이 낮은 카드를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3. 신용카드 소득공제 체크하기
다음은 신용카드 소득공제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초년생이라면 매년 연말정산을 실시하게 되는데요. 이때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서는 이러한 것을 잘 챙겨주는 것이 좋겠어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직불카드를 적절하게 사용해 주면 소득공제를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근로소득자가 연말정산을 할 때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사용한 신용카드 이용금액의 일정금액을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를 받는 것입니다.
■ 신용카드 소득공제
- 연간 총 급여액의 25%를 초과해 사용한 금액
- 신용 15%, 체크/선불 30%, 전통시장 40%, 대중교통 40%, 문화비 30%, 소비증가분에 대한 추가 소득공제 신설 10% 적용
- 7천 만 원 이하자는 한도 300만 원
- 7천 만 원 초과자는 한도 250만 원
연말정산을 할 때 소득공제 혜택을 받고 싶다면 신용카드 발급조건을 확인하시고 일정 비율대로 사용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4. 신용카드 종류 알아보기
신용카드 발급을 받을 때는 어떤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가 좋을지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본인의 소비 패턴에 대해서 파악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요즘은 특정 카테고리에 특화되어 있는 카드도 많이 나오고 있어요. 카드 고릴라에서 혜택별 순위나 카드사별 인기 카드들을 확인할 수가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마무리
오늘은 신용카드 발급조건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자신의 신용을 담보로 외상 거래를 하는 것이 신용카드라고 생각을 하면 될 것 같아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회초년생분들은 여러 카드사를 비교해 보시고 본인에게 적합하고 많은 혜택을 챙길 수 있는 것으로 고르면 좋겠습니다.
무신사 현대카드 발급, 혜택, 연회비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신사 현대카드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옷을 좋아하는 분들은 쇼핑을 자주하고 계실 텐데요. 저도 봄이 되면 이것 저것 많이 사는 중입니다. 보통
economystory23.tistory.com
토스뱅크 체크카드 혜택, 해외, 교통카드 이용 안내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스뱅크 체크카드의 혜택과 해외 이용 및 교통카드 이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전문 은행으로 토스 이용하는 분들도 꽤나 많이들 계실 것 같
economystory23.tistory.com